에너지 관리
용수 사용량
용수 사용량
용수사용량 절감을 위해 유량계를 설치하고 설비 개선과 분임조 활동 등을 펼치고 있고, 생활용수 절감을 위한 '물절약 실천' 캠페인도 펼치고 있습니다. '화장실 절수용품 설치', '양치컵 사용하기', '수도꼭지 완전히 잠그기', '음식물 찌꺼기나 기름기 제거 후 설거지하기' 등을 통해 임직원 모두 물절약캠페인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 유량계 설치: 상수사용량 계량을 통해 공정 별 상수 투입량 점검과 폐수발생량의 추적 및 관리(용수 사용량 절감 기여)

용수 사용량 단위는 톤이고 2018년 230,881톤, 2019년 273,018톤, 2020년 236,486톤, 2021년(상반기) 131,250톤 입니다.
전기 사용량
전기 사용량
전력 사용량 감소를 위해 에너지 절약 캠페인 및 전력 peak제, 공장 환경개선활동 등을 펼치고 있습니다.
'4층 이하는 계단 이용하기', '퇴근 시 전기 플러그 뽑기', '점심시간에는 조명과 냉,난방기 끄기', '회의실 이용 후 소등, 전원장치 off' 등을 통해 임직원 모두 전력 사용량 감소를 실천하고 있습니다.

전기 사용량 단위는 J이고 2018년 13,815, 2019년 14,156J, 2020년 14,110J, 2021년(상반기) 7,395J 입니다.
플라스틱 사용량
플라스틱 사용량
플라스틱 용기 경량화 및 소재 개선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플라스틱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플라스틱 사용량 단위는 톤이고 2018년 12,040톤, 2019년 12,052톤, 2020년 12,714톤, 2021년(상반기) 9,043톤 입니다. 포장재재활용 분담금 산출 실적 기준입니다.
- 1.플라스틱 용기 경량화
- 플라스틱 사용량을 줄인 용기 도입
- 용기 없이 내용물만 고체 형태로 판매
- 플라스틱 2차 포장재 제거 또는 감량
- 2.바이오 플라스틱 사용
- 재생가능한 원재료로 만들어지는 바이오플라스틱 사용
- 3.리필 활성화
- 쿠션 등 일부 부품만 교환하여 재사용하는 제품 판매
- 4.소재 개선
- 라벨, 마개, 몸체의 단일 소재화
- PET-G 소재를 다른 단일 소재로 변경
- 복합재질 용기를 단일 재질로 변경
- 배출 시 쉽게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조 개선
- 투명 용기 및 흰색 용기 도입
<플라스틱 용기/재질 사용량 감축 계획>
연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
---|---|---|---|---|---|---|
플라스틱 감축량(Ton) | 30 | 40 | 55 | 70 | 85 | 1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