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경

ESG

유해물질 관리

대기오염 최소화

대기오염 최소화

청양공장은 기존에 사용해 온 보일러를 2013년 폐쇄하고, 스팀을 공급받아 사용하며 공장 내 SOx 등의 주요 대기 오염 물질 발생원을 제거하였습니다. 대기오염물질 발생원 제거, 대체원료 연구, 배출허용기준 30% 이내로 배출농도관리 등을 통해 대기오염물질 발생 및 배출량 절감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대기오염 최소화의 내용을 아래 문장에서 자세히 기술합니다.

대기오염물질 배출 단위는 kg이고 2019년 1,413kg, 2020년 933kg, 2021년 1,310kg, 2022년(상반기)입니다.

유해화학물질 사용

유해화학물질 사용

생활용품, 화장품 제조 과정에서 pH 조절 용도로 사용되는 최소한의 유해화학물질만을 취급하고 있습니다. 유해화학물질 누출 사고 예방을 위해 사용하는 시설별 취급기준을 엄격하게 관리하고 있으며, 주기적인 임직원 교육을 통해 사고 대응 역량을 강화시켜 나가고 있습니다.

유해화학물질 사용의 내용을 아래 문장에서 자세히 기술합니다.

유해화학물질 사용량 단위는 kg이고 2018년 705,450kg, 2019년 713,570kg, 2020년 730,000kg, 2021년(상반기) 176,306kg입니다.

온실가스 배출

온실가스 배출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스팀 공급원을 자체 B-C유 보일러에서 천연가스인 LNG를 사용하는 외부 업체로 전환하였으며, 에너지진단을 통해 사업장 에너지 낭비 요인을 확인하고 에너지 효율 개선을 위한 지속적인 설비 투자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결과의 투명성 확보를 위해 23년도부터 공인된 외부 기관을 통하여 각 사업장 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검증 받고 있습니다.

온실가스 배출의 내용을 아래 문장에서 자세히 기술합니다.

온실가스 배출량 합계 단위는 tCO2-e/년이고 직접온실가스 배출량은 2018년 339 tCO2-e/년, 2019년 411 tCO2-e/년, 2020년 305 tCO2-e/년, 2021년(싱빈기) 147 tCO2-e/년, 간접온실가스 배출량은 2018년 10,586 tCO2-e/년, 2019년 9,521 tCO2-e/년, 2020년 8,941 tCO2-e/년, 2021년(싱빈기) 4,815 tCO2-e/년, 온실가스 배출량 합계는 2018년 10,925 tCO2-e/년, 2019년 9,932 tCO2-e/년, 2020년 9,246 tCO2-e/년, 2021년(싱빈기) 4,962 tCO2-e/년입니다.

수질오염 최소화

수질오염 최소화

수질오염물질 배출량을 감소시키고자 ’22년도에 청양공장 사업장에 자체적인 폐수처리시설을 구축하여 가동 중에 있으며, 시설 운영 최적화를 통해 폐수 처리 효율을 높이는 활동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발생 및 배출되는 폐수 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공정 중에 발생한 고농도 오염물질은 별도로 폐기물 처리하고 있습니다.

수질오염 최소화의 내용을 아래 문장에서 자세히 기술합니다.

수질오염물질 배출량 합계 단위는 kg이고 2018년 216,284kg, 2019년 219,010kg, 2020년 184,018kg, 2021년(상반기) 84,532kg입니다.

폐기물 발생량 저감

폐기물 발생량 저감

사업장에서 발생한 폐기물을 전량 위탁처리하고 있으며 생산 공정 개선, 폐기물 분리수거, 직원 교육 등을 통해 폐기물 발생량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재활용이 어려운 폐기물을 제외한 발생 폐기물을 모두 재활용 처리로 전환하는 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폐기물 발생량 저감의 내용을 아래 문장에서 자세히 기술합니다.

폐기물 배출량 단위는 톤이고 재활용량은 2018년 67톤, 2019년 155톤, 2020년 199톤, 2021년(상반기) 433톤, 폐기물 발생량은 2018년 645톤, 2019년 1,219톤, 2020년 1,053톤, 2021년(상반기) 555톤, 재활용률(%)은 2018년 10.4%, 2019년 12.7%, 2020년 18.9%, 2021년(상반기) 78.1%입니다.

대전공장 폐기물 발생량 종합

대전공장 폐기물 발생량 종합 구분, 종류, 처리방법, 발생량(kg)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테이블
구분 종류 처리방법 2020년 2021년 2022년
발생량(kg)
일반 폐합성수지 일반소각 23,750 - -
폐합성수지 재활용 - 53,970 68,150
음식물 재활용 5,180 3,780 2,830
그밖의공정오니 매립 61,230 100,910 214,520
폐비닐 재활용 2,500 - -
지정 석면의 제거작업에 사용된 매립 - - -
폐석면 매립 - - -
폐시약 고온소각 - - -
폐기계유 재활용 - - 500
그밖의 폐알칼리 증발농축 - - -
폐페인트 고온소각 - 1,350 -
폐기물 발생량 종합 92,660 160,010 286,000
폐기물 재활용 종합 7,680 57,750 71,480

청양공장 폐기물 발생량 종합

대전공장 폐기물 발생량 종합 구분, 종류, 처리방법, 발생량(kg)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테이블
구분 종류 처리방법 2020년 2021년 2022년
발생량(kg)
일반 폐기물 재활용 190,260 752,820 836,860
소각 764,320 121,370 108,770
매립 4,050 - -
지정 폐기물 재활용 1,020 41,340 37,660
소각 200 2,280 2,880
매립 - 17,790 3,210
폐기물 발생량 종합 959,850 935,600 989,380
폐기물 재활용 종합 191,280 794,160 874,520

유해물질 관리 프로세스

폐기물 처리 흐름도

폐기물 처리 흐름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