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 중대성 평가
지속가능한 향기가 세상에 널리 퍼질 수 있게
우리가 준비하고 있는 과제들을 소개합니다.
GRI Standards에 따라 이중 중대성 개념을 적용하여 평가를 진행했으며, 재무적 중대성과 사회·환경적 중대성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핵심 이슈를 도출하였습니다. 전체 이슈를 ESG 연계성과 내부 이해관계자들의 관심을 기반으로 평가하여 ESG 주요 이슈를 도출했고, 해당 이슈들을 비즈니스 전략 방향성과 사회·환경적 중대성, 이해관계자들의 관심도 등을 고려한 평가를 통해 최종적으로 3개의 핵심 이슈와 6개의 전략적 이슈를 선정하였습니다.
-
Step 01
Issue Pool 구성
- - 글로벌 경제/사회/환경 등 이슈 파악
- - 소비자 트렌드 분석
- - 산업 동향 및 경쟁 분석
- - 산업 관련 제도, 규제 등 변경 사항
- - ESG 트렌드 및 주요 지표 분석
-
Step 02
ESG 주요 이슈 도출
- * 재무적 중대성 분석
- - 중장기 전략 목표 및 방향성
- - ESG 관련 임직원 인터뷰
- - AR/IR 전략 보고서 Agenda 분석
- - ESG 평가 결과 분석
- * 사회 환경적 중대성 분석
- - 내/외부 이해관계자 인터뷰
- - 국내/외 ESG 선진사례 기업 분석
- - ESG 관련 가이드라인 및 지표 검토
-
Step 03
ESG 핵심 / 전략적 이슈 선정
- - 최종 이슈 선정 및 이사회 보고
-
핵심이슈 01.
제품 포장재의
환경 영향 감축 -
핵심이슈 02.
근로환경 및 인권경영
-
핵심이슈 03.
이사회의
독립성 및 다양성
중대성 이슈 도출 | ||
---|---|---|
핵심이슈 | 1 | 제품 포장재의 환경 영향 감축 노력 |
2 | 근로 환경 개선 및 인권 경영 강화 | |
3 | 이사회의 독립성 및 다양성 확보 | |
전략적 이슈 | 1 | 폐기물 재사용, 재활용 등의 처리와 활용 노력 |
2 | 사회 공헌 활동 추진 | |
3 | 고객 서비스 및 만족도 개선 | |
4 | 주주 권리 보호 | |
5 | 지속가능한 공급망 구축 | |
6 | 협력기업과의 동반성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