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경

ESG

안전보건

EHS 활동

EHS 조직

안전보건 경영방침

애경산업은 인간존중과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지속적인 기업의 발전을 위하여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을 구축하고 지속적인 개선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수준 안전환경보건 경영시스템을 구축을 위하여 EHS조직과 위원회 중심으로 전문성을 강화하여 직원과 고객 안전과 건강을 최우선 순위에 두고 끊임없이 노력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안전보건경영방침

안전∙보건 중장기 목표 (2023~2025년)

안전∙보건 중장기 목표 (2023~2025년)
분야 대상 항목 세부 항목 목표 및 세부 방안
1. 안 전 1) 안전 진단 ① 사업장 안전점검 연 2회 이상 연 2회 이상 연 2회 이상
② 안전점검 결과 [이행 완료] 92% 이상 [이행 완료] 94% 이상 [이행 완료] 95% 이상
* 연 2회 이상의 사업장 대상 안전점검 (중처법 이행점검 등)을 실시하여 당사 안전관리체계의 고도화를 유도함
2) 안전 예방 ① 개선계획 이행 [이행율] 85% 이상 [이행율] 90% 이상 [이행율] 95% 이상
* 전년도 사업장 대상 안전점검 및 위험성 평가 결과로 도출된 개선안의 실행여부를 적극적으로 모니터링하여 개선계획의 이행을 지속적으로 유도함
② 안전 내재화 교육 연 1회 이상 연 2회 이상 연 2회 이상
* 법정 교육 외, 안전문화 내재화를 위한 특별 교육을 실시하여 전 임직원의 안전에 대한 의식 향상을 유도함
2. 보 건 1) 건강 검진 ① 수검율 [수검율] 92% 이상 [수검율] 93% 이상 [수검율] 94% 이상
* (사무직 임직원은 2년 1회 수검 대상에 해당되나), 임직원의 건강 유지를 위하여 지속적인 홍보 및 건강검진 기간 확대를 통한 수검율 증대를 유도함
② 검진 결과 [요관찰자 비율] 40% 이하
[유소견자 비율] 15% 이하
[요관찰자 비율] 39% 이하
[유소견자 비율] 14% 이하
[요관찰자 비율] 38% 이하
[유소견자 비율] 14% 이하
* 연 2회 이상의 건강 프로그램 (금연, 다이어트 등) 운영을 통하여 임직원의 요관찰자 및 유소견자 비율 감소를 유도함
2) 보건 교육 ① 심폐소생술 (CPR) 교육 [이수율] 50% 이상 [이수율] 65% 이상 [이수율] 80% 이상
* 긴급 상황을 대비할 수 있는 필수교육으로서 전 임직원 대상 심폐소생술 (CPR) 교육을 정기적으로 실시함
- 교육 이수율 기준 : 3년 내 1회 이상 교육 이수자 기준

EHS 조직목표

전사 환경, 보건, 안전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여 최고의 안정성 확보와 환경 보존을 통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실현합니다.

EHS 조직목표
EHS팀 제품안전센터
Vision 전사 EHS에 대한 이슈를 발굴하고
사전 예방을 통해 행복한 직장 구현 추구
제품 생산 전 과정에서 제품의 안전성을 보증하는
안전관리의 표준
Mission 전사 환경, 안전, 보건 이슈 발굴 및 개선,
사후 조치를 실효적으로 지원
선제적, 적극적 안전 관리로 소비자가 신뢰하고
안심할 수 있는 안전한 제품 제공
Task 사업장별 환경, 안전, 보건 이슈 발굴 제품 생산 전 과정의 안전 가이드 제공
이슈에 대한 실효적 개선방안 논의, 수립 및 실행 지원 안전한 제품에 대한 검증, 보증 시스템 확립
사고 발생 시 즉시 보고 체계 정립, 후속 조치 투명한 내/외부 소통을 통한 고객 신뢰 확보

조직도

조직도

ESG 조직의 내용을 아래 문장에서 자세히 기술합니다.

대표이사가 있습니다. EHS부문장 밑으로 법률자문과 제품안전센터와 EHS총괄담당, 본사/디자인팀 청양,대전공장/청양,대전물류센터, 중앙연구소, 50인 미만 사업장인 지방물류센터(용인,청주,김해), 지방영업소 (총 9개소)가 있습니다. 제품안전센터 밑으로 제품안전팀과 업무 겸직이 있고 제품안전팀 밑으로 규제검토 담당, 안전검토 담당, 안전평가 담당이 있습니다. 업무 겸직으로는 중앙연구소, 구매 담당이 있는데 중앙연구소 밑으로는 제품 개발 담당이 있고, 디자인센터에는 포장 개발 담당이 있고, 본사에는 CRM 담당, 홍보 담당, 구매 담당이 있습니다. 구매담당 밑에는 품질 관리 담당이 있습니다. 본사/디자인센터에는 안전보건관리 (총괄) 책임자, 도급협의체(디자인센터), 본사 안전관리자, 본사 보건관리자, 디자인센터 안전보건관리 담당자, 관리감독자가 있습니다. 청양,대전공장/청양,대전물류센터에는 안전보건관리(총괄)책임자, 도급협의체(청양/대전), 청양 안전관리자, 청양 보건 관리자, 대전 안전보건관리 담당자, 관리감독자가 있습니다. 중앙연구소에는 안전보건 관리 책임자, 안전 관리자, 보건 관리자, 관리감독자가 있습니다. 50인 미만 사업장인 지방물류센터(용인,청주,김해)에는 안전보건관리(총괄)책임자, 도급협의체(용인/청주/김해), 안전보건관리담당자(안전보건총괄책임자), 안전관리자, 보건관리자가 있습니다. 50인 미만 사업장인 지방영업소 (총 9개소)에는 안전보건관리(총괄)책임자, 안전보건관리 담당자가 있고 총 9개소는 부산/대구/대전/창원/광주/전주/강원도/수원/원주입니다.

AKIM 경영진 회의 : EHS위원회 안전/보건 아젠다 협의 및 의사결정 진행 (월별 진행)